김일권 여행작가 / 중국어 관광통역안내사
네이버 블로그 : 찐종여행기
유튜브 : 김상무 중국이야기

트럼프 대통령이 관심을 가지는
알래스카 가스관에 대하여
오늘은 뜬금없이 여행을 벗어나 이 주제를 가지고 블로그 한번 올려봅니다. 제가 관심을 가지는 주제이기 때문에

● 트럼프 언급 내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년 3월 5일 의회연설에서 미국은 최근 알래스카에서 대규모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과 한국 등 여러 국가들이 이 프로젝트에 수조 달러 규모의 투자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의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참여를 기정사실화하는 언급을 했는데 이 알래스카 LNG 가스관 개발 프로젝트는 '화석연료 부활'을 꾀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핵심 에너지 사업입니다.

● 프로젝트 내용
이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가스관은 알래스카 북부의 풍부한 천연가스를 남부로 운송하여 액화 후 수출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입니다.
알래스카 북부 프루도베이 가스전에서 추출한 천연가스를 남부 니키스키까지 약 1,300km 길이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송한 후, 액화천연가스(LNG) 형태로 가공하여 수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총 투자 비용은 약 450억 달러(약 64조 원) 이상으로 추산되며, 2030년 상업 운전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 프로젝트의 기대사항과 우려사항
이 프로젝트는 엄청난 기대효과가 있지만 동시에 알래스카의 혹독한 환경과 높은 초기 개발비용 등으로 인해 사업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기대사항]
알래스카 북부의 풍부한 천연가스 매장량 활용할 수 있는데, 미국의 에너지 안보 강화 및 수출 증대로 이어져
알래스카 지역 경제 활성화하고 미국 내 에너지 가격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우려사항]
그러나, 극심한 추위와 험난한 지형을 극복해야 하는 기술적 어려움 등이 있는데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과 장기간의 사업 기간, 환경 문제 및 지역 주민과의 갈등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프로젝트의 초기 투자 비용은 약 450억 달러(약 64조 원)로 추산되며, 이는 상당한 재정적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이게 핵심이죠.
이에 따른 경제성 문제가 발생되는데 과거 바이든 정부에서도 검토후 개발을 안 하기로 하였고, 엑슨모빌, BP 등 글로벌 석유 메이저사들이 경제성 문제로 참여를 철회한 사례가 있습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경제적 타당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냅니다.

● 한국 참여 가능성 및 기회요인
한국 정부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미국과 실무 협의체를 구성하고 국내 기업들의 참여를 타진하고 있습니다.
몇가지 긍정적 요인이 있습니다.
[1] 에너지 수입선 다변화 및 운송 효율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입니다. 알래스카 남부 터미널에서 한국까지의 LNG 운송 기간은 약 8일로, 중동이나 미국 멕시코만에서 운송하는 것보다 짧아 운송 효율성이 높아 국가의 에너지 수요 충족하면서 국가의 에너지 수급 안정화에도 기여하겠죠.
[2] 국내 산업 참여 기회 : 액화 터미널과 송유관 건설을 위한 대규모 투자는 철강, 건설 등 국내 산업에 참여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북극해 환경에서 한국이 보유한 쇄빙 LNG선 기술은 조선업계에 큰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3] 철강 및 조선업계는 이 프로젝트로 인해 새로운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보이고 있습니다.

● 맺음말
전반적으로 알래스카 가스관 프로젝트는 미국의 에너지 수출 확대와 글로벌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높은 비용과 환경적 도전 등으로 인해 경제적 타당성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알래스카 가스관 프로젝트의 경제적 타당성은 긍정적 측면과 우려 사항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참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신중한 경제성 평가와 국제 천연가스 시장 동향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최근, 최근 트럼프 정부는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를 무기로 압박을 하고 있고 이 프로젝트에 대해 한국을 콕 찝어 압박을 가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베이스로 사업 참여를 고려해야 하지만 불가피하게 미국의 압박을 탈피하지 못한다면 미국의 통상 압력을 완화하는 것도 깊이 고민하여 필요시 지렛대로 삼을 필요도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대한민국 파이팅 입니다. 감사합니다.
'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쇄골 수술 후 체중이 5kg 증가… 한 달 운동했지만 겨우 2kg 감량, 무엇을 개선해야 할까? (8) | 2025.05.11 |
---|---|
아파트 단지 헬스장 설치, 불법일까? 합법일까? (4) | 2025.05.04 |
《세계 기준에서 보면 뒤처지거나 아쉬운 대한민국의 국가 서비스와 사회 인프라 10가지》 (2) | 2025.03.22 |
“이런 나라에 산다는 건 축복 –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 인프라 10가지” (1) | 2025.03.21 |
저는 이완기 혈압이 높아서 걱정이 많아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 2025.03.09 |